JPEG 프로파일/코딩 방식에 따른 종류
이 분류는 JPEG 이미지 데이터가 어떻게 압축되고 저장되는지에 대한 핵심적인 차이를 나타냅니다. SOFn (Start of Frame) 마커를 통해 식별할 수 있습니다.
JPEG 종류 (SOFn 마커) | 설명 | 특징 | 사용 사례 |
Baseline JPEG (FF C0) | 가장 기본적인 JPEG 코딩 방식. 순차적인 DCT 기반 압축 사용. | 8x8 블록 DCT, YCrCb 색 공간, 허프만 코딩, 폭넓은 호환성 | 일반적인 사진, 웹 이미지, 대부분의 이미지 편집 및 뷰어 |
Extended Sequential JPEG (FF C1) | Baseline JPEG와 유사하지만, 더 높은 정확도 (8비트 이상) 지원. | 더 높은 정밀도, 일부 특수 장비에서 사용 | 전문가용 장비, 정밀한 이미지 작업 |
Progressive JPEG (FF C2) | 이미지를 여러 번에 걸쳐 점진적으로 표시하는 방식. | 점진적 표시, 낮은 품질부터 점차 선명하게 표시, Baseline JPEG보다 약간 낮은 압축률 | 웹 이미지 (로딩 속도 개선), 대용량 이미지 |
Lossless JPEG (FF C3) | DCT 변환 대신 예측 코딩 방식을 사용하여 손실 없이 이미지를 압축. | 무손실 압축, 낮은 압축률, 거의 사용되지 않음 | 아카이빙, 특정 분야 (극히 드묾) |
Hierarchical JPEG (FF C5, FF C7, FF C9, FF CB, FF CD, FF CF) | 이미지를 여러 해상도로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표시. | 다중 해상도 지원, 다양한 해상도 이미지 빠르게 제공 | 특수 목적 (거의 사용되지 않음) |
JPEG-LS | 저복잡도 손실/무손실 압축 표준. 의료 영상 분야에서 주로 사용. | LOCO-I 알고리즘 기반, 의료 영상 표준 | 의료 영상 |
APP 마커 관련 JPEG 종류 (포맷):
이 분류는 이미지 자체의 코딩 방식보다는, JPEG 이미지에 추가적인 메타데이터나 구조를 정의하는 포맷입니다. APPn (Application) 마커 내에 정보를 저장합니다.
JPEG 포맷 | 설명 | 특징 |
JFIF | 가장 일반적인 JPEG 파일 포맷. Baseline JPEG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정의 (예: 썸네일, 해상도). | Baseline JPEG 기반, 널리 사용됨, 썸네일 이미지, 해상도 정보 |
Exif | 디지털 카메라에서 촬영한 이미지에 대한 메타 정보 (촬영 날짜, 카메라 모델, 촬영 설정 등)를 저장하는 포맷. | 카메라 정보, 촬영 설정, GPS 정보 등, 디지털 카메라 이미지에 필수적 |
Adobe Photoshop JPEG | Adobe Photoshop에서 저장한 JPEG 파일은 Photoshop 관련 정보 (레이어 정보, 편집 내역 등)를 APP 마커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. 다른 이미지 뷰어에서는 호환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 | Photoshop 관련 정보, 레이어 정보, 다른 뷰어에서 호환성 문제 발생 가능성 |
핵심 정리:
- 프로파일/코딩 방식: 이미지 데이터가 어떻게 압축되고 저장되는지를 결정 (SOFn 마커로 식별). Baseline, Progressive, Lossless 등이 있습니다.
- 포맷: 이미지에 추가적인 메타데이터나 구조를 정의 (APP 마커 활용). JFIF, Exif 등이 있습니다.
일반적으로 JPEG 이미지를 다룰 때, "JPEG"라고 언급하는 것은 대부분 Baseline JPEG (JFIF 포맷)를 의미합니다. Progressive JPEG는 웹 환경에서 종종 사용되며, Exif 데이터는 디지털 카메라 이미지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. 다른 종류의 JPEG는 특수한 목적이나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